1. 新대승네트워크 방향과 지향
이념적 배경
탈 개인주의
불교 본연의 비판성
대승의 사회성 : 참여와 실천
일상성
개방과 연대(협업)
지향
종단을 넘어 불교로
- 제도 불교의 틀을 넘어 한국불교의 정체성(새로운 불교적 가치관)과 나아갈 바를 정립
- 사안 중심적 대응이 아닌 대안이 있는 비판과 책임있는 단체의 모습 제시
- 1994년 종단 개혁을 넘어 새로운 불교 지향
불교를 넘어 사회로(탈개인주의적 대승불교)
- 불교와 사회의 가교역활
- 비판과 참여의 종교
- 전지구적 연대
- 인간중심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삶을 탈피하고 연기론적/고나계론적 세계관으로의 전환
이론과 지식 중심이 아닌 생활속에서의 불교 실천
- 일상적 삶속에서 다르마(法)를 실천
- 구체적 삶의 실천을 위한 일상적 수행의 요청 : 생활수행지침의 마련 및 실천
우리시대 새로운 보살의 상 정립
- 新보살 : 수행과 삶의 일치
- 新보살의 불교관, 계율관, 수행관 정립
공유적 삶의 구현
- 신자유주의의 문제점 극복
- 공론장 및 담론 형성
- 불교 단체나 조직에 대한 지원
- 불교활동가 및 실천가의 발굴과 욕심
- 정명(定命)기업 추진
2. 신대승네트워크의 전략사업
웹-플랫폼 개발
◦ 단체소개형, 공지형, 자료제공형 중심인 홈페이지 개념을 탈피하고, 참여형, 활용형, 종합형, 토론형의 플랫폼 지향
◦ 개인과 단체, 국내외 조직이 웹에 기반을 두어 공의(公議)의 광장문화를 형성하고 협업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리서치, SNS 등의 기능성이 연계된 통합형 웹 플랫폼 구축
◦ 유익한 정보제공, 협력 프로젝트를 플랫폼, 국내외 불교인들의 국제정보센터 위상 확보
◦ 스스로 정보와 자료를 발굴/제공/거래하는 쌍방향 플랫폼 성격의 온라인 지식장터 기능 제공
e-매거진 발간
◦ 팔정도의 정견을 구현하기 위해 불교와 사회의 제 현상과 이슈 등을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 해설하는 매체 지향
◦ 다양한 견해와 정보를 공유하고 나누는 매체 구축
◦ 정치적 목적이나 진영논리를 극복하고 정견/정사유의 근거를 제시해 정행의 토대 구축
3. 한국불교 대전환을 위한 신대승 아젠다 선정
배경
◦ 제도종교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 시대의 한국불교로서 신대승불교의 가치지향과 실천방법론의 밑그림을 그리기 위한 공론장 구축
◦ 교계내에서 한국불교를 거듭나게 하기 위해 오랫동안 활동하고 연구․실천해온 연구자와 활동가들의 협업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이 시대의 한국불교의 담론과 비전을 공유하여 신대승불교 대안 그룹 형성에 유리한 생태계 조성
목표
최종목표
1994 종단개혁 당시 <개혁회의>가 제시했던 5대 지표/10대 과제/22개 사업, 1대 개혁종단의 <종단발전 5개년계획> 이후 형식화된 중장기 전략을 극복하고, 한 차원 발전되고 더 거시적인 미래 한국불교의 그랜드디자인을 성안/제시한다.
하위목표
▸ 사람의 발굴 : 냉담/이탈한 실천가의 결집
▸ 신세대 연구자/현장전문가의 활동(협업) 장 제공
▸ 개별/산개된 연구자의 응집/집중 실현
구성
◦ 신대승네트워크와 정의평화불교연대 협업사업으로 추진
◦ 각 단체에서 추천하는 연구자, 활동가로 ‘한국불교대전환아젠다위원회’ 구성
운영
◦ ‘한국불교대전환아젠다위원회’회의에서 분과 구성
◦ 분과위원회별로 의제 의견수렴 및 토론 진행
․ 설문조사(NGO리서치에서 담당)를 통하여 10대 혁신과제를 우선 선정하고, 전문가 대상의 FGI(포커스그룹인터뷰)를 통하여 의제 의견수렴 후, 의제별로 토론 진행
․ 의제별 (분과)책임자를 선정하여 진행
․ 토론방법 결정 및 발제자/토론자 섭외 및 선정
․ 가능하면 위원들도 발제자 내지 토론자로 함께 참여
․ 필요시 위원간 사전 연구 및 토론 진행
◦진행방식
․ 3인(각 10분) 개조식 발제 후 토론
․ 소그룹 작업 (논의의 집중/효율화를 위해 로터스법 등 기획발상법 적용)
․ 협동작업 결과발표와 전체 보충토론
◦매월 1회 정기적으로 진행하되, 주제에 맞게 형식을 결정하여 진행
․ 과제를 선정하여 분석·토론하고 서로의 의견과 아이디어는 물론 각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와 지식을 나누고 그리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지혜를 모으는 공론장 형성
․ 필요시 참석자는 담당분야 학자, 종무원, 현장활동가, 언론인 등 이론가와 실천가(실무자)가 함께 참여하여 논의 진행
※ 3개월마다 워크샵 등을 통해 집중 토론 진행
◦분석과 토론 결과의 공론화를 위하여 ① 모든 연구 및 토론 결과를 온라인 및 언론에 공개, ② 결과를 집약한 4∼6쪽 분량의 요약서를 불교계 여론주도층에 배포, ③ 필요시 전체 논의결과를 정리하여 책자로 배포
4. 신대승 생활수행지침 개발
목표
대승불교운동의 가치와 구체적인 수행목표를 담은 신대승불교 수행지침서를 개발하여,
◦ 회원들과 불자들이 일상적으로 수지 독송(합송)할 수 있는 수행지침 확보
◦ 생활수행지침을 1개월 단위로 수행집중 과제로 수지하는 생활실천운동으로 확산
◦ 기복적이고 의타적인 신행형태의 극복과 불교가치에 기반한 새로운 신행문화의 정립
지침제정의 방향과 기준
◦붓다의 가르침, 불교 근본정신과 일치하는가?
◦제시하는 지침을 실천하면 불교가 추구하는 맑은 세상, 정토세상이 이룩되는가?
◦불자가 가야할 신행, 수행의 길로써 보편성을 가지며 생활 속에서 실천가능한가?
◦종교성을 떠나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공공성을 갖는가?
지침서의 구성 형식
수행항목의 제시
-불교적 가치에 입각하여 반드시 필요한 수행항목의 선정
-문항수는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
수행항목에 대한 강조 설명
-수행항목을 설명하고 강조할 수 있는 문안
-설명하는 부분까지 일상적으로 낭독할 수 있도록 하고, 인쇄 홍보물로 제작
부연 설명
-보다 구체적인 보완내용과 설명
제정이유와 근거 설명
-수행항목으로의 제정된 이유와 근거를 구체적으로 설명
지침서의 내용구성
◦불교의 궁극적 지향과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한 실천방안 반영
◦계율정신의 현대적 적용
◦사회적 제문제에 대한 불교적 해결방안 제시와 실천활동